[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 서울
더 플라자 호텔 서울

 - 홈페이지 
http://www.hoteltheplaza.com/
 - 전화번호 
02-771-2200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19 (태평로2가)
럭셔리 부티크 호텔 더 플라자는 서울의 상징인 시청 맞은편에 자리 잡아 비즈니스맨 및 관광객에게 최적의 위치 조건을 자랑합니다. 
총 319개 객실과 4개의 다양한 레스토랑&바, 9개의 연회장, 피트니스 및 스파 등을 갖추고 있는 더 플라자는 서울 시내에서 가장 현대적인 특급호텔 중 하나입니다. ‘스테이 인 스타일(STAY IN style)’이라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맞는 감성적인 인테리어 디자인과 ‘고객에게 완벽한 하루를 선사하는 디자이너’ 더 플라자 컨시어지팀 운영을 통해 객실 고객에 한정되어 있던 서비스를 객실, 연회, 레스토랑 전 부분으로 확대 제공하여, 럭셔리 부티크 스타일과 고객 맞춤형 편리를 추구합니다. 
2016년 1월부터는 국내 최초로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의 럭셔리 라이프 스타일 브랜드 ‘오토그래프 컬렉션’과의 제휴를 통해, 체인 호텔과 로컬 호텔의 장점이 결합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특급호텔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 소개 정보 
 - 규모 : 지상 22층 / 지하 3층(별관 지상 18층, 지하 8층)
 - 객실수 : 319실
 - 객실유형 : 디럭스 / 프리미어 스위트 / 플라자 스위트 / 레지덴셜 스위트 / 프레스티지 스위트 / 프레지덴셜 스위트 / 로열 플라자 스위트
 - 입실시간 : 15:00
 - 퇴실시간 : 11:00
 - 문의및안내 : 02-771-2200
 - 픽업서비스 : 가능(사전문의)
 - 주차시설 : 가능
 - 부대시설 (기타) : 비즈니스센터 / 휘트니스센터 / 사우나실
 - 식음료장 : 세븐스퀘어 / 도원 / 더라운지 / 오이스터 배 / 블랑제리 더 플라자
 - 객실내취사 : 불가
 - 사우나실 : O
 - 휘트니스센터 : O
 ◎ 객실명칭 : 프리미어 스위트
 - 객실크기(평방미터) : 40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3
 - 객실소개 : ※ 객실 가격은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목욕시설 : O
 - 에어컨 : O
 - TV : O
 - 인터넷 : O
 - 냉장고 : O
 - 세면도구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플라자 스위트
 - 객실크기(평방미터) : 45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3
 - 객실소개 : ※ 객실 가격은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목욕시설 : O
 - 에어컨 : O
 - TV : O
 - 인터넷 : O
 - 냉장고 : O
 - 세면도구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레지덴셜 스위트
 - 객실크기(평방미터) : 58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3
 - 객실소개 : ※ 객실 가격은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목욕시설 : O
 - 에어컨 : O
 - TV : O
 - 인터넷 : O
 - 냉장고 : O
 - 세면도구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디럭스
 - 객실크기(평) : 9
 - 객실크기(평방미터) : 30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2
 - 객실소개 : ※ 객실 가격은 홈페이지 참조 또는 전화 문의 요망
 - 목욕시설 : O
 - 에어컨 : O
 - TV : O
 - 인터넷 : O
 - 냉장고 : O
 - 세면도구 : O
 - 드라이기 : O








◎ 주위 관광 정보
⊙ 서울광장

 - 홈페이지 
https://plaza.seoul.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지하12 (을지로1가)
서울광장은 서울시청 앞에 조성된 잔디밭 광장이다. 3·1 운동, 6월 민주화운동 등 한국 현대사의 한 획을 긋는 역사적 사건의 무대였으며 2002년 월드컵 때 시민들의 축제 마당 역할을 했다. 시청광장의 역사는 고종이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했다가 월산대군의 개인 집인 덕수궁으로 돌아온 1897년부터 시작된다. 황제의 자리에 오른 고종은 나라의 기틀을 새로이 하기 위해 덕수궁 대한문 앞을 중심으로 하는 방사선형 도로를 닦고 앞쪽에는 광장과 환구단(원구단)을 설치하였다. 이때부터 대한문 앞 광장은 고종보호시위, 3·1 운동, 4·19 혁명, 한일회담반대시위, 6월 민주화운동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주요 무대가 되었다. 
도심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으며 주변에 역사·문화자원이 다양하게 있어 국가적 상징성과 역사성을 지니는 장소이다. 서울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으며 봄, 여름, 가을에는 책을 읽거나 여러 가지 행사를 하는 공간이 되고 겨울에는 스케이트장을 조성하여 시민들과 사계절을 함께 한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5번 출구에서 91m에 있다. 건너편에는 덕수궁, 바로 옆에는 서울도서관이 있어서 함께 이용하면 좋다.
⊙ 서울광장 스케이트장

 - 홈페이지 
https://seoulskate.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2 시청광장지하쇼핑센터
서울 시청사 앞에 있는 서울광장 스케이트장은 동절기에만 운영된다. 2004년에 조성된 서울광장은 보름달을 연상시키는 타원형의 잔디광장으로 연중 공연과 전시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펼쳐지는 시민들을 위한 공간이다. 특히 겨울이면 서울광장에는 야외 스케이트장이 설치되어 겨울철 명소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스케이트장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며 자동차가 다니는 도심 한복판에서 스케이트를 즐기는 이색적인 풍경을 보여준다. 스케이트장은 초급자용 링크와 고급자용 링크 두 가지를 갖추고 있다. 또한,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스케이트를 탈 수 있다. 광장에는 스케이트장 외에도 스케이트 대여실, 야외 휴게소, 야외 스탠드 등의 편의시설도 마련되어 있다.
수도권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5번 출구로 나오면 바로 광장이 있고, 광장 옆에는 서울도서관, 건너편에는 덕수궁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장안삼계탕
 - 장안삼계탕 
02-753-5834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18길 8
태평로에 위치한 장안삼계탕은 40년 넘는 전통이 있는 곳이다. 삼계탕의 명문으로 자리 잡은 이곳은 3층 규모로 좋은 재료만 엄선해서 사용한다. 영계만으로 삼계탕을 끓여내 국물은 기름기가 적고 고소하고 담백하며 닭 냄새가 나지 않는 것도 이 집만의 특징이다. 간을 하는데 쓰는 소금도 곱게 간 후추를 넣고 볶아서 만든 천일염만을 쓴다. 밑반찬으로 나오는 깍두기 맛도 일품이다.
⊙ 환구단
 - 홈페이지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12 (소공동)
환구단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있는 대한제국시대의 제단으로, 환단이라고도 한다. 유교적인 정치 이념을 수용해 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을 가리킨다. 환구단의 한자 표기는 [고종실록]에 기록된 것이고, 한글 표기는 [독립신문]을 따라 정하였다. 고종 34년(1897) 고종의 황제 즉위식과 제사를 지내기 위해 당시 황궁인 경운궁(지금의 덕수궁) 맞은편 옛 남별궁터에 단을 만들어 조성했다. 원래는 거대한 규모를 가진 대한제국의 성역으로, 제를 올리는 환구단과 천신의 위패를 모시는 황궁우, 그리고 주변 시설로 어재실, 향대청, 석고각 등을 갖췄었다. 그러나 일제가 1913년 호텔 신축을 이유로 철거하여 환구단 본단은 없어지고 상징물 격인 황궁우와 석고각 안에 있던 돌북만 남아 있다.
환구단 정문은 원래 황궁우 남쪽 지금의 조선호텔 출입구가 있는 소공로변에 있었는데, 1960년 말 철거된 뒤 오랫동안 소재를 알지 못했다. 2007년 강북구 우이동에 있는 그린파크호텔을 재개발하는 과정에서 호텔 정문으로 사용하던 문이 원래 환구단 정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정문의 이전 복원을 논의했다. 여러 후보지 가운데 더 많은 시민이 환구단의 존재를 인식하고 쉽게 확인하도록 서울광장, 덕수궁과 마주 보는 환구단 시민광장으로 자리를 정해 옮겨왔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삼문이고, 가운데 칸이 특별히 넓고 양측 칸을 좁게 조정했다. 기둥 위에는 이익공식 공포를 사용하고, 대한제국 황실 문장인 오얏꽃 문양과 봉황문 등을 장식으로 활용해 특별하다.
⊙ 덕수궁 대한문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대한문(大漢門)은 덕수궁의 정문으로 ‘대한’은 “한양이 창대해진다”라는 뜻이다. 원래 경운궁의 정문은 남쪽에 있었던 인화문(仁化門)이었으나, 동문인 대안문(大安門) 주변이 환구단을 비롯하여 새로운 도심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정문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지금의 이름은 1906년(광무 10) 문을 수리하면서 바꾸게 되었다. 원래 대한문은 약 33m 앞에 있었으나 1970년대 태평로를 확장하면서 현재의 자리로 옮겼다. 대한문을 지나서 있는 금천교는 1986년에 발굴하여 복원하였다.
⊙ 돈덕전
 - 홈페이지 
https://royal.khs.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대한제국 외교 공간으로 기획되었던 돈덕전은 덕수궁 내에 있는 서양식 2층 건물이다. ‘돈덕(惇德)’의 뜻은 ‘덕 있는 이를 도탑게 해 어진 이를 믿는다’라는 의미로 ‘덕이 있는 자’는 교류하며 신뢰를 쌓아가야 할 여러 국가를 가리킨다. 돈덕전은 고종이 즉위 40주년 기념행사장으로 사용하려고 세운 서양식 건물로 일제에 의해 헐렸다가 2017년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약 6년 만에 완성하여 2023년 9월 정식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새롭게 개관한 돈덕전은 대한제국의 외교 장소라는 역사적 의미를 살리면서 내부 공간을 대한제국 외교사 중심 전시와 기록보관, 도서 열람, 국내외 문화교류와 예술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꾸며졌다.
⊙ 마이시크릿덴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my.secret.den/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9 401호
서울 중구에 위치한 마이시크릿덴은 바쁜 도심 속에서 사색의 여유가 필요할 때 찾는 곳이다. 덕수궁 돌담길이 내려다보이는 편안한 공간에서 영감을 주는 책을 읽고, 휴식을 위한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밤에는 음식을 가지고 와서 와인 페어링을 즐길 수 있다. 원하는 프로그램에 따라 사전 예약이 가능하다. 팝업 카페는 평일만 운영하고 있으므로 방문 시 운영시간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시청역 인근에 자리하여 방문할 시 교통이 편리하다.
⊙ 홍연
 - 홍연 
02-317-0494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06 (소공동)
중국 요리에 대한 선입견을 깬 ‘홍연’은 광둥식 요리를 우아한 분위기에서 즐길 수 있고 기존 중국 요리의 틀을 깨고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가고 있다. 이곳은 맛과 영양이 조화를 이루는 요리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해산물, 두부, 채소 요리를 중심으로 시간과 품이 더 들더라도 건강을 위해 공을 들인다. 대표 메뉴로는 불도장, 전가복, 북경오리, 홍연 탕수육 등이 있다. 전복과 갑오징어, 해삼 등을 채소와 곁들여 먹는 전가복은 깔끔하면서 담백하고,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탕수육은 쫄깃한 식감을 제대로 느낄 수 있다.
⊙ 아리아
 - 홈페이지 
https://www.josunhotel.com
 - 아리아 
02-317-0357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06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저층 로비에 위치한 아리아는 일식, 한중식, 그릴, 파스타, 인도, 누들&딤섬, 수프, 콜드&샐러드 총 10개의 라이브 스테이션에서 신선한 요리를 제공한다. 제철 재료로 구성한 뷔페 메뉴와 더불어 각 스테이션은 인도 요리사의 탄두리치킨과 커리, 완도전복구이, 양갈비 등 주방장이 추천하는 시그니처 메뉴를 소개한다. 에그 베네딕트, 팬케이크, 프렌치토스트, 잉글리시 머핀, 크루아상, 훈제연어, 우동 등을 제공하는 아침 뷔페도 운영하고 있으니 맛있게 즐겨보자.
⊙ 스시조

 - 홈페이지 
https://www.josunhotel.com/hotel/westinSeoul.do
 - 스시조 
02-317-0314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로 106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20층
최고의 스시를 즐기기 위한 선택, 서울 웨스틴조선호텔 일식당 스시조는 특별히 히노키 스시 다이를 마련해 그 위에 음식을 제공함으로써 최고의 스시 맛을 유지한다. 또한 가장 신선하고 영양가 높은 음식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 메뉴를 봄·여름·가을·겨울 네 번 바꾸고, 수시로 새로운 메뉴를 선보인다. 담을 때도 계절을 한눈에 느낄 수 있도록 색이나 장식의 조화를 고려한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