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고택 이상루
- 홈페이지
https://goandong.modoo.at
- 이신자
010-3522-1542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3193-6 (서후면)
경북 안동 천등산 자락에 위치한 250년의 역사를 간직한 안동고택 이상루는 안동 김씨의 시조인 김선평의 단소를 지키고 문중회의를 하는 곳이다. 이상루는 다락집 형태의 2층 목조누각으로 무게있는 위엄을 자랑하고, 태장재사에서는 숙박을 한다. 겨울에는 황토방 아궁이에 불을 때고 여름에는 텐트나 모기장을 치고 이상루에서 잘 수 있어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다. 다도, 매듭공예, 탈춤, 천연염색, 한지공예 체험 및 효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고, 조식으로 각종 약선식과 양반식 밥상을 경험할 수 있다. 안동하회마을과 도산서원의 중간지점에 있어 주변 관광도 편리하다.
※ 소개 정보
- 규모 : 3개동
- 수용가능인원 : 70
- 객실수 : 13
- 객실유형 : 한실
- 입실시간 : 16:00
- 퇴실시간 : 11:00
- 예약안내 : 전화(010-3522-1542)
- 픽업서비스 : 불가
- 주차시설 : 가능
- 식음료장 : 있음
- 객실내취사 : 불가
- 세미나실 : O
- 식음료장 : O
- 캠프파이어 : O
- 공용샤워실 : O
- 환불규정 : 6일전 100%, 5일전 90%, 4일전 80%, 3일전 70%, 2일전 50%, 1일전 30%, 이용당일 환불불가
◎ 객실명칭 : 큰방
- 객실크기(평) : 4
- 객실크기(평방미터) : 15
- 기준인원 : 8
- 최대인원 : 12
- 비수기주중최소 : 200000
- 비수기주말최소 : 200000
- 성수기주중최소 : 200000
- 성수기주말최소 : 200000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작은방
- 객실크기(평) : 2
- 객실크기(평방미터) : 7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2
- 비수기주중최소 : 50000
- 비수기주말최소 : 50000
- 성수기주중최소 : 50000
- 성수기주말최소 : 50000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죽실
- 객실크기(평) : 3
- 객실크기(평방미터) : 12
- 기준인원 : 4
- 최대인원 : 6
- 비수기주중최소 : 12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2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2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20000
- 에어컨 : O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사랑방
- 객실크기(평) : 2
- 객실크기(평방미터) : 7.48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3
- 비수기주중최소 : 70000
- 비수기주말최소 : 70000
- 성수기주중최소 : 70000
- 성수기주말최소 : 70000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중방(1~7실)
- 객실크기(평) : 3
- 객실크기(평방미터) : 12
- 기준인원 : 4
- 최대인원 : 8
- 비수기주중최소 : 10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0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0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00000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매실
- 객실크기(평) : 3
- 객실크기(평방미터) : 11
- 기준인원 : 3
- 최대인원 : 4
- 비수기주중최소 : 12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2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2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20000
- 에어컨 : O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국실
- 객실크기(평) : 3
- 객실크기(평방미터) : 10
- 기준인원 : 3
- 최대인원 : 6
- 비수기주중최소 : 12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2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2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20000
- 에어컨 : O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난실
- 객실크기(평) : 3
- 객실크기(평방미터) : 10
- 기준인원 : 3
- 최대인원 : 6
- 비수기주중최소 : 12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2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2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20000
- 에어컨 : O
- TV : O
- PC : O
- 케이블설치 : O
- 인터넷 : O
- 세면도구 : O
- 취사용품 : O
- 드라이기 : O
◎ 반려동물 동반 여행 정보
- 동반가능동물
반려견
◎ 주위 관광 정보
⊙ 별천궁
- 별천궁
054-857-4168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141
한옥으로 인테리어를 한 레스토랑이다. 대표메뉴는 간고등어 정식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
⊙ 봉정사영산암
- 홈페이지
http://bongjeongsa.org/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봉정사길 222
봉정사영산암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안동 봉정사의 부속 암자이다. 봉정사는 우리나라 목조건물 중 가장 오래된 극락전(국보)과 조선 전기 건축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웅전(국보)이 유명하지만 경북민속문화재로 등재된 ‘봉정사영산암’을 빼놓고 말할 수 없다.
영산암을 구성하는 크고 작은 전각 6동 가운데 자리잡은 마당 정원은 ‘한국의 10대 정원’으로 꼽힐 정도로 아름답다.
소나무와 배롱나무, 맥문동 같은 화초가 어우러져 정원은 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 송암당 툇마루에 앉으면 아담한 소나무와 배롱나무, 소박한 풀꽃이 아늑하게 보이고 마당 가운데 서서 삼성각 쪽을 바라보면 하늘로 뻗은 소나무 가지와 바닥의 기암괴석이 선계에 온 듯한 착각을 일으킨다.
인근에 광풍정과 의성김씨 학봉종택의 종가음식 체험, 고려시대 불상 이천동 마애여래입상을 함께 둘러보길 추천한다.
⊙ 개목사(안동)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개목사길 362 (서후면)
* 마음의 눈을 뜨게 만드는 사찰, 개목사 *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절집 건축물이 있는 안동 봉정사의 위쪽에 있다. 통일신라 초기에 의상대사가 천등산 중턱에 세운 절로 원래는 흥국사라 하였다. 의상대사가 신통한 묘술로 하루에 1시간씩 99일 동안 99칸의 거대한 절을 지었는데, 그 후 이 절은 부처의 영험이 많이 나타나 많은 불도들이 찾아와 기도하고, 소원을 성취하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 현재는 보물로 지정된 원통전만 옛 모습을 지니고 있다. 개목사 원통전은 조선 세조 3년에 건립되었다 한다. 측면에서 볼 때 전면으로 퇴간을 달아 맞배지붕의 박공면이 전면으로 길게 나와 있다. 공포는 전, 후면이 다른 수법으로 되었는데 전면은 출목없이 익공형으로 조각되었고 후면은 1출목을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 하였다. 내부는 연등천장으로 상부가 노출되었으며, 초각한 파련대공과 솟을 대공을 두어 종도리를 받게 하였다. 솟을대공 수법 역시 고식의 하나로 되어있다.
* 개목사의 이름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 *
개목사란 이름이 생긴 것에 대해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 온다. 하나는 <영가지(永嘉誌)>에 실린 내용으로 원래는 절 이름을 흥국사(興國寺)였다. 당시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앞을 보지 못하는 소경들이 많았는데 절 건립 소경들이 없어졌다 하여 이름을 개목사(開目寺)로 바꾸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는 조선 초기의 재상인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이 안동부사로 부임해 와서 보니 경상북도 안동의 지세가 눈병 환자가 많을 형상이어서 개목사로 이름을 바꾸었다는 설이다.
⊙ 광풍정
- 홈페이지
https://www.khs.go.kr/main.html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2885-23
광풍정은 1630년대에 장흥효(1564∼1633) 선생이 지은 정자로 300여 문인이 학문을 익히던 곳이다. 선생은 일찍부터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고향에 은거하면서 학문 연구에 몰두하여 영남학파 발전과 후배양성에 힘썼다. 현재 정자의 모습은 헌종 4년(1838)에 이 지역의 유림들이 고쳐 지은 것이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광풍정은 대각선으로 대칭된 공간 배치를 하여 특이한 평면구조를 이루며, 지형적인 환경 요인뿐 아니라 기후 요인까지 적절히 받아들인 건축물로 건축사적 의의가 크다.
(출처 : 국가유산청)
⊙ 봉정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 홈페이지
봉정사 http://www.bongjeongsa.org
안동 문화관광 http://www.tourandong.com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대한민국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672년 의상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의상대사의 제자인 능인이 창건하였다는 설도 전해진다. 한국전쟁으로 대부분의 자료들이 소실되어 창건 이후 사찰 역사는 전하지 않는다. 1972년 봉정사 극락전을 해체하고 복원하는 공사를 진행할 때 상량문에서 고려시대 공민왕12년의 1363년에 극락전을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발견되었다. 이런 사실이 발견되어 봉정사 극락전이 현존하는 최고의 목조건물로 인정받게 되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의성김씨학봉종택
- 홈페이지
학봉종택 홈페이지 http://www.hakbong.co.kr
국가유산청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2830-6
* 학봉 김성일이 살았던 가옥, 의성김씨 학봉종택 *
의성김씨 학봉 종택은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이 살았던 가옥이다. 학봉종택은 원래 지금의 자리에 있었으나 지대가 낮아 침수가 자주 된다며 학봉의 8세손 광찬(光燦)이 1762년(영조 38) 이곳에서 100여 미터 떨어진 현재 소계서당(邵溪書堂)이 있는 자리에 옮겨 살고 종택이 있던 자리에는 소계서당을 지었다 한다. 그러나 1964년 종택을 다시 원래의 자리인 현위치로 이건되었다. 학봉은 류성룡(柳成龍)과 더불어 퇴계의 고제(高弟)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27세에 사마시, 1568년(선조 1) 중광문과 병과에 합격한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다가 1577년(선조 10)에는 사은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1590년(선조 23)에는 통신부사로 일본에 파견되기도 하였으나 임란때에 왜적과의 전투를 독려하다가 병사하였다.
* 학봉 김성일 선생의 유물을 보관하는 곳, 운장각 *
학봉종택 외에 운장각이 있다. 운장각은 조선 선조 때의 명신이며 학자인 학봉 김성일 선생의 유물을 보관한 곳이다. 선생께서 남기신 서적·물품·친필기록 제초고 및 선조전래의 전적·문서와 후손들의 유품을 영구히 보존코자 건립하였다. 운장각에는 현재 선생이 남긴 서적, 유품, 친필기록, 고문서 56종 261점(보물), 제초고 및 선조 전래의 전적문서(보물)와 후손들의 유품 등 500여점의 유적이 소장되어 있다.
⊙ 송강미술관
- 홈페이지
http://www.sgma.kr/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이송천길 240-10
경북 안동시에 위치한 송강미술관은 미술관과 박물관, 문학관 등 복합문화공간을 통해 문화, 예술의 장을 마련하는 공간이다. 이곳에서 예술과 문학, 사랑을 이야기하고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있다는 꿈을 주는 공간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옹천21세기찐빵
- 옹천21세기찐빵
054-859-7058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경북대로 959-7
저렴한 가격으로 독특한 찐빵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찐빵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 원주변씨간재종택 및 간재정
- 홈페이지
안동시 문화관광 http://www.tourandong.com
국가유산청 https://www.heritage.go.kr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풍산태사로 2720-30
* 간재 선생의 혼이 묻어있는 곳, 원주변씨 간재종택 *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위치한 간재종택은 16~18세기에 걸쳐 창건 및 중수된 건물로서 원형이 잘 보전되고 있다. 그리고 관련 인물이 고려 충신의 후예이자 임진왜란의 공신이었다는 역사적 측면과 건물들의 독특한 공간 배치로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작은 산이 병풍처럼 골짜기를 이룬 자리에 정침 및 별당, 사당, 정자를 아래에서부터 위로 자연지형에 순응하면서 각각 적합한 곳에 터를 잡았다. 사대부 가의 공간 영역을 갖춘 단독 종택은 동성마을의 유형으로 발전한 한국 종가사에 흔치 않은 곳으로서 조선 선비들의 입지 및 정주관을 살펴볼 수 있는 주요 가거지로 써 가치가 있으며 현재 이곳에는 30가구 90여 명이 살고 있다. 전통문화 보고, 지붕 없는 박물관으로 불러지는 안동문화권, 그중에서도 간재종택과 정자는 하회, 내앞마을 등과 함께 또 하나의 작은 문화권을 이루며 양반 유림의 문화를 잘 간직하고 있는 우리 민족의 중요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다.
⊙ 경광서원
- 홈페이지
https://www.tourandong.com/public/
-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3길 131-24
금계리 동편 사천 위에 옛부터 ‘유정사’라는 절이 있었는데, 사림에서 선조 1년(1568)에 경광서원을 건립했다. 이어서 현종 3년(1662) ‘경광정사’라고 이름을 바꾼 뒤 백죽당 배상지, 용재 이종준 두 선생의 위패를 봉안했다. 인조 27년(1649) ‘춘파이사’를 창건하여 용재 이종준, 경당 장흥효 두 선생을 모셨다. 숙종 12년(1687) 서원으로 승격되어 경당 선생의 위패를 옮겨서 백죽당, 용재 두 선생과 함께 제향 했다. 대원군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873년 단소를 설립하여 향사해 왔다. 1978년 현재의 모습으로 복설 되어 매년 9월 중정일에 제향하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안동시] 치암고택 (1) | 2025.04.17 |
---|---|
[경상북도 안동시] 가경재 (0) | 2025.04.17 |
[경상북도 안동시] 옥연정사 (0) | 2025.04.17 |
[경상북도 영천시] 귀애고택 (0) | 2025.04.17 |
[경상북도 안동시] 학봉종택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