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실고택
- 홈페이지
https://changsil.modoo.at
- 박현숙
010-5100-3684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39 (파천면)
창실고택은 조선 시대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슬로시티로, 몽환적인 풍경을 자랑한다. 한옥의 자태, 지형이 좁은 외씨버선길 등으로 갖은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청송 덕천마을, 송소고택, 청송 참소슬마을, 청송 신기리 느티나무 등이 있다.
※ 소개 정보
- 규모 : 6객실
- 수용가능인원 : 14
- 객실수 : 6
- 객실유형 : 한실
- 입실시간 : 15:00
- 퇴실시간 : 11:00
- 예약안내 : 전화(010-4938-3864)
- 문의및안내 : 010-4938-3864
- 픽업서비스 : 불가
- 주차시설 : 불가
- 식음료장 : 있음
- 객실내취사 : 불가
- 식음료장 : O
- 바비큐장 : O
- 공용샤워실 : O
- 환불규정 : 이용일 7일전 90%, 6일 전 80%, 5일 전 70% , 4일 전 60%, 3일 전50%, 2일 전 40%, 1일 전 30% , 당일 불가
◎ 객실명칭 : 사랑방
- 객실크기(평) : 5
- 객실크기(평방미터) : 16.5
- 기준인원 : 4
- 최대인원 : 6
- 비수기주중최소 : 15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5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5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50000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안사랑
- 객실크기(평) : 4
- 객실크기(평방미터) : 13.2
- 기준인원 : 3
- 최대인원 : 4
- 비수기주중최소 : 10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0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0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00000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책방
- 객실크기(평) : 2
- 객실크기(평방미터) : 6.6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2
- 비수기주중최소 : 50000
- 비수기주말최소 : 50000
- 성수기주중최소 : 50000
- 성수기주말최소 : 50000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안방
- 객실크기(평) : 5
- 객실크기(평방미터) : 16.5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4
- 비수기주중최소 : 10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0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0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00000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초당방
- 객실크기(평) : 2
- 객실크기(평방미터) : 6.6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4
- 비수기주중최소 : 70000
- 비수기주말최소 : 70000
- 성수기주중최소 : 70000
- 성수기주말최소 : 70000
- 드라이기 : O
◎ 객실명칭 : 황토방
- 객실크기(평) : 2
- 객실크기(평방미터) : 6.6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3
- 비수기주중최소 : 100000
- 비수기주말최소 : 100000
- 성수기주중최소 : 100000
- 성수기주말최소 : 100000
- 드라이기 : O
◎ 반려동물 동반 여행 정보
◎ 주위 관광 정보
⊙ 청송초전댁
- 홈페이지
http://www.cs.go.kr/tour.web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35-3
이 건물의 남쪽과 동쪽으로는 토담이 비교적 온전한 형태로 남아 있고 서쪽과 배면은 경사지를 깎아 축대를 쌓아 경계로 하고 있다. 담장을 따라 소규모의 정원과 텃밭을 갈아 놓았고 건물 우측에는 예부터 사용해오던 오래된 우물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이 고택은 순조 때 통정대부첨지중추부사(通政大夫僉知中樞府事)를 지낸 청송 심씨 석촌 공파 17세인 덕활 공이 요절한 아우 덕종의 양자로 입적한 친아들 헌문의 네 번째 돌을 기념하여 순조 6년(1806)에 건축한 것으로 전해지며, 21세인 선해가 1900년에 보수하여 세거해 오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면의 대문을 중심으로 우측 편으로 큰사랑 공간이 자리하고, 좌측 편은 작은 사랑이 온돌방 좌우로 외양간과 고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문간 안으로 들어서면 정면에 2칸 대청이 자리하면서 좌우에 온돌방을 두어 정침을 구성하고 있다. 대청의 좌측 편은 2칸의 안방과 부엌이 연결되어 정침의 좌익사로 구성되어 있고, 대청의 우측 편은 건넌방과 창고가 연결되어 정침의 우익사로 구성되어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백일홍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송소고택길 21
백일홍은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 소재 청송송소고택과 맞닿아 있다. 레트로 감성을 자극하는 한옥 카페로 외관뿐만 아니라 내부 또한 옛 향수를 자극하는 인테리어로 꾸며졌다.
대표 메뉴는 딸기라테이며, 이 밖에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카푸치노, 리얼핫초코, 오미자차, 생강차 등도 맛볼 수 있다.
자가용을 이용하면 청송IC에서 가깝고, 버스를 타면 청송버스터미널에서 찾아가기 수월하다. 인근에는 달기약수탕과 파천구상화강암이 있다. 카페가 있는 덕천마을을 둘러보는 것도 좋겠다.
⊙ 청송 송소고택
- 홈페이지
http://www.송소고택.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송소고택길 15-2
.text202503{ COLOR: #FF0000; }
청송 덕천마을 내에 있는 송소고택은 조선시대 99칸으로 이어진 만석꾼의 집이 있다.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심처대의 7대손 송소 심호택이 1880년 파천면 지경리(호박골)에서 조상의 본거지인 덕천리로 이거 하면서 실제 거주하기 위해 지은 가옥으로 [송소세장]이란 현판을 달았다.
경북 북부 민가 양식으로 건물에 독립된 마당이 있으며 사랑 공간, 생활 공간, 작업 공간으로 공간이 구분되는 등 조선시대 상류 주택의 특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다. 또한, 바깥마당에 담장으로 구획한 내·외담과 대가족 제도하에서 4대 이상의 제사를 모실 수 있는 별묘 등 민속학적 가치가 매우 높다.
수려한 자연경관을 배경으로 고즈넉한 한옥에서의 하룻밤을 지낼수 있는 고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 심부자밥상
- 심부자밥상
054-874-6555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길 39
심부자밥상은 경북 청송군 덕천마을 내 위치한 한식 전문점이다. 마을의 특성인 심 씨의 집성촌인 만큼 예전 심부자의 밥상을 그대로 재연해 내었다. 메뉴는 심부자밥상 단일 메뉴인데 정갈하고 다양한 종류의 반찬과 국이 차려진다. 자극적이지 않아 집밥처럼 부담 없이 맛볼 수 있다. 아침 일찍부터 영업하기 때문에 아침 식사를 하기에도 좋다. 예약은 불가하며 웨이팅이 있을 수 있다.
⊙ 청송 덕천마을(참소슬마을)
- 홈페이지
https://www.cs.go.kr/tou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덕천길 89
청송군 파천면 덕천리에 있는 참소슬마을은 농촌 전통 테마 마을로 덕천마을이라고도 불린다. 농촌관광코스 10선에 선정된 숨은 명소이며, 국제 슬로시티를 대표하는 마을인 이곳은 청송 심씨의 집성촌으로 총 7채의 고택이 있다.
조선 영조 때 만석의 부를 누린 심처대의 7대손 송소 심호택이 1880년대 이곳에 터를 잡으며 건립한 99칸의 [송소고택]은 국가 민속문화재 선정되었고, 온돌방과 넓은 마당, 전통 한지 벽지와 천연염색 이불을 갖추고 있다. 그 옆에 있는 [송정고택] 송정 심상광이 기거하였던 ㅁ자 구조의 한옥으로, 사랑채와 책방, 중간에 대청마루가 있다. 심상광이 사용하던 책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초전고택]은 1806년에 지어진 곳으로 대문을 중심으로 우측 편으로 큰사랑 공간이 자리하고, 좌측 편은 작은 사랑이 온돌방 좌우로 외양간과 고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담장을 따라 소규모의 정원과 텃밭이 있는 정갈한 조선시대 후기 건축물이다.
이곳 덕천마을 대부분의 고택에선 한옥스테이를 진행하고 고택 운영자들은 숙박객들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청송고택협동조합을 설립하여 마을에서 직접 재배한 농작물로 만들어진 소슬밥상이라는 이름의 음식도 제공하고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을 수확할 수 있는 슬로시티 체험 농장과 전통 방식의 천연염색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체험 프로그램은 계절 및 마을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방문 시 사전 확인하길 바란다.
⊙ 중평솔밭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 34
중평솔밭은 청송 파천면 중평리 입구에 있는 3천여 평의 소나무 숲으로 수령 200여 년 된 소나무 80여 그루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마을 안의 이로운 기운이 밖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는 비보림의 전형이며 마을 밖에서 마을 안을 함부로 들여다보지 않도록 하는 심미적 기능도 크며 숲 내부적으로는 마을 주민과 여행객들에게 편안한 휴식처를 제공하고 있다. 중평솔밭은 지반 정비가 잘 되어 있고 주변에 용전천이 있어 텐트를 칠 수 있는 데크와 샤워실 등 야영장 시설을 갖추고 있어 가족들과 함께 물고기를 잡으며 가볍게 여름휴가를 보내기에 적격인 장소이다.
마을은 청송의 국제 슬로시티로 불리는 한옥의 정취와 옛 선비의 정신을 엿볼 수 있는 중평선비마을로 201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평산신씨 판사공파종택, 서벽고택과 사남고택 등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 청송 사남고택
- 홈페이지
http://www.cs.go.kr/tour.web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26
.text202503{ COLOR: #FF0000; }
이 집은 연화봉의 나지막한 산자락 아래 남향하여 자리 잡고 있는 ‘ㅁ’ 자형 건물로서 평산신씨(平山申氏) 판사공파 시조 순의 19 세손인 신치학(申致鶴)이 1780년경에 건축하였다. 고택의 우측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 평산신씨종택 등과 동년대에 건립된 것으로 비교적 큰 건물이다. 사랑채는 기단을 높게 조성하여 누처럼 보이게 하였고 팔작지붕을 높지막하게 올려 마치 독립된 별동의 건물과 같은 느낌을 주게 하는 일반살림집으로는 특이한 구조이다. .
(출처: 청송군 문화관광)
⊙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 홈페이지
http://www.cs.go.kr/tour.web
http://www.cha.go.kr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16
이 집은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으로 27세 신한태(申漢泰, 1663~1719) 가 조선 숙종(潚宗)때 건축한 건물이다. 마을의 얕은 야산을 등지고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는 이집은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안채와의 사이에 넓은 사랑마당이 있고 이 마당의 우측에 새 사랑채가 따로 서 있다. 안채 뒤 오른편 언덕위에 사당이 있고 안채좌측 뒤편에 남향하여 영정각과 서당이 나란히 배치되어 조선시대 사대부 저택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 집의 안채는 정면 7칸, 양측면 5칸, 후면 5칸이며, '口'자의 정면에 좌.우 날개가 한 칸씩 돌출되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정면 7칸 중 가운데 칸에 중문을 두었고 우측에 사랑방과 마루방으로 사랑채를 설치하였으며 사랑방 뒤쪽으로 중방을 두어 안마당과 통하도록 되어 있다.
⊙ 서벽고택
- 홈페이지
청송여행 https://www.cs.go.kr/tour.web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들2길 22-2
.text202503{ COLOR: #FF0000; }
서벽고택은 평산신씨 27세손 신한창(1669~1749)이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1739년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당시 5칸 규모였으나 31세손인 치구(1777~1851)가 확장·증축하면서 치구의 호인 서벽을 당호로 하였다고 한다. 평면은 정면 5칸, 측면 4칸 구자형 평면에 전면 부분만 양쪽으로 한 칸씩 덧붙인 날개집이다. 중문칸을 중심으로 서측에 사랑공간을 두었다. 2칸 온돌방과 1칸 마루방 3칸으로 구성되면서 서익사와는 방에서 연결될 수 있는 빈소방이 자리한다. 마루방은 뒤편 상부에 감실을 두었고 마루방과 온돌방 1칸 앞쪽에 툇마루를 두어 출입을 원활하게 하였다. 종가와 유사한 가옥형식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건립 당시의 평면수법인 고방과 유산고, 창호구성법, 결구수법 등 초기의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 사양서원
- 홈페이지
https://www.cs.go.kr/tour.web
- 주소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중평병부길 50-81
청송 파천면 중평리 필봉 기슭에 있는 사양서원은 고려 개국공신 신숭겸의 12대손인 문정공 신현을 주벽으로, 그의 아들 문훤공과 고려말 학자 운곡 원천석을 동서종향위로 봉안하고 있다. 문정공 신현을 숭모하는 선비들이 1932년에 충남 계룡산 아래 화해사를 짓고 위패를 모셨다. 이때 신현의 전기인 화해사전을 운곡이 편집한 인연 때문에 함께 봉안하게 되었다. 후에 농지개혁으로 서원의 땅이 분배되면서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짓고 편액은 그대로 둔 채 사양서원이라 하였다. 화해사의 편액은 백범 김구가 썼다고 한다.
신현은 고려 충숙왕때 문과에 급제한 후 원나라에 가서 그곳 학자들과 종유하며 학문에 더욱 전념하여 대학자가 되었다. 운곡 원천석은 조선 태종 방원을 가르친 인연이 있어 태종이 여러 차례 기용하려 했으나 고려에 대한 충정을 지켜 끝내 응하지 않고 숨어 살았다.
마을 입구에는 3천여 평의 소나무 숲으로 수령 200여 년의 소나무 80여 그루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4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영천시] 귀애고택 (0) | 2025.04.17 |
---|---|
[경상북도 안동시] 학봉종택 (0) | 2025.04.17 |
[경상북도 청송군] 찰방공종택 (0) | 2025.04.17 |
[경상북도 경주시] 더히든풀빌라 (0) | 2025.04.17 |
[경상북도 청송군] 송정고택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