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남도

[전라남도 고흥군] 남순재

반응형

남순재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stay_namsoonjae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장남2길 19

기존한옥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하여 기존의 한옥의 특징은 그대로 살리면서 공간을 통합 및 재배치하여 힐링의 공간으로 만든 독채펜션이다. 촌캉스 소품 무료 대여가 가능하며 야외 바베큐 캠핑존 및 대형 자쿠지까지 구비되어 있다. 도심을 떠나 고즈넉한 공간에서 쉼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 소개 정보
- 객실수 : 1실
- 객실유형 : 독채
- 입실시간 : 16:00
- 퇴실시간 : 11:00
- 문의및안내 : 0507-1314-7147




◎ 객실명칭 : 남순재
- 객실크기(평) : 18
- 객실크기(평방미터) : 62
- 객실수 : 1
- 기준인원 : 2
- 최대인원 : 4
- 비수기주중최소 : 250000
- 비수기주말최소 : 300000
- 성수기주중최소 : 250000
- 성수기주말최소 : 300000
- 객실소개 : ※ 침실이외 멀티룸 보유(취침가능)

※ 위 정보는 2024년 11월에 작성된 정보로(정상요금), 해당 숙박시설 이용요금이 수시로 변동됨에 따라 이용요금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요망
- 목욕시설 : O
- 에어컨 : O
- TV : O
- 인터넷 : O
- 냉장고 : O
- 취사용품 : O
- 테이블 : O
- 드라이기 : O

 

 

 








고흥_남순재 (2)고흥_남순재 (4)고흥_남순재 (5)고흥_남순재 (8)고흥_남순재 (10)고흥_남순재 (9)고흥_남순재 (13)고흥_남순재 (16)고흥_남순재 (15)고흥_남순재 (3)고흥_남순재 (6)고흥_남순재 (7)고흥_남순재 (12)고흥_남순재 (11)고흥_남순재 (14)





◎ 주위 관광 정보

⊙ 팔영산 편백 치유의숲

- 홈페이지
http://chiyu.goheung.go.kr/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천사로 529-191

전남 고흥군에 위치한 팔영산 편백 치유의 숲은 천혜의 자연경관과 전국 최대 규모의 편백숲을 보유한 국립공원이다.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다양한 환경요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조성한 산림이다. 신체적, 정신적 건강 회복은 물론이고, 자연이 주는 선물인 햇빛, 바람, 경관, 향기 등을 보고 느끼면서 스트레스도 줄이고,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 심신의 회복과 휴양, 생활습관 개선 등 팔영산 편백 치유의 숲에서 체력과 면역력을 길러주는 여러 체험형 프로그램들도 경험해 보고, 이색적인 숲 속 경관도 체험해 볼 수 있다.

⊙ 능가사

- 홈페이지
http://www.templestay.com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팔봉길 21 (점암면)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인 능가사는 호남 4대사찰 중 하나로 규모가 크고 평지에 위치해 있다.
417년 아도화상이 창건하여 보현사라 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탄 뒤 조선 인조 22년(1644)에 벽천 정현대사가 중창하고 능가사로 이름을 바꾸었다. 벽천은 원래 90세의 나이로 지리산에서 수도하고 있었는데, 어느 날 밤 꿈에 부처님이 나타나서 절을 지어 중생을 제도하라는 계시를 받고 이곳에 능가사를 신축하였다고 한다. 능가사는 호남 4대사찰 중 하나로 규모가 크고 평지에 위치해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정면 5칸, 측면 3칸에 팔작지붕을 한 보물 제1307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응진당, 종각, 천왕문, 요사채 등이 있다. 능가사는 2018년부터 템플스테이 사찰로 지정되어 '남쪽나라 바다 명상 여행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팔영산 자락에 위치해 팔영산을 둘러볼 수 있으며, 능가사를 지나 팔영산 자동차야영장이 인접해 있다.

⊙ 팔영산자동차야영장


- 홈페이지
https://reservation.knps.or.kr/contents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팔봉길 19-51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팔영산에 위치한 자동차캠핑장으로 주변에 소나무 숲과 계곡이 있어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팔영산자동차야영장은 자동차 야영지 62동이 있으며 사이트마다 전기, 수도, 화장실, 샤워실 등이 완비되어 있다. 야영장 외에도 카라반, 펜션, 숲속의 집 등 다양한 숙박시설과 수영장, 족구장, 배드민턴장, 어린이 놀이터, 마트, 편의점 등 다양한 부대시설도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로 캠핑을 즐기기에 좋은 곳이다. 팔영상오토캠핑장에서 팔영산 정상으로 등반이 가능해 따로 이동할 필요 없이 아침 일찍 올라갔다가 내려와 샤워와 식사가 가능해서 편리하다. 인근 관광지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능가사, 팔영산자연휴양림이 있고, 주변에 팔영산야영장, 해창만 수변공원 오토캠핑장, 낭도 야영장 등이 있다.

⊙ 고흥 해창만 간척지 공원


- 홈페이지
https://tour.goheung.go.kr/tour/index.do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팔영로 405

고흥 해창만은 고흥반도의 동부에 위치한 만이며 조선시대 흥양현 남부에서 세금으로 거둔 곡식을 보관하던 곡식창고라는 이름이 ‘해창만’이라고 한다. 해창만에서 생산되는 쌀은 해미, 수미로 판매가 되고 있고 방조제 인근에는 오토캠핑장과 해창만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또한 야외 공연장, 산책로 등이 있어 관광객에게 편안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앞쪽으로는 담수호, 뒤쪽으로는 바다가 위치하고 있어 낚시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 해창만오토캠핑장


- 홈페이지
http://www.hcmcamping.com/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팔영로 405

전남 고흥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오토캠핑장. 바다로 넘어가는 노을이 아름답다. 바다를 둘러 산책용 데크가 놀이터까지 이어져 있다. 바다를 접하고 있어 낚시를 즐기기에도 좋다. 주변에 아이들과 가볼 만한 팔영산, 나로우주센터 등 여행지가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운암산(고흥)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운암산은 높이 487m로 두원면과 포두면의 경계에 있다. 산이 높이 솟아 구름 같은 기운이 산을 감싸고 있다 하여 운암산이라 부른다. 사람들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는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울창한 숲과 맑은 공기를 느낄 수 있다. 운암산은 산행하기 좋은 곳으로 산길이 잘 정비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으며 산 정상에 오르면 고흥군의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운암산에는 수도암이라는 절이 있는데 신라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시대에 중수하였다. 산꼭대기에는 기우제를 지내는 제단이 있으며 조선 말기 총리대신을 지낸 김홍집이 흥양현감으로 재임시 이곳 운암산에 올라 기우제를 올렸는데 그때의 기우제문이 전해진다. 차량 이용시 고흥문화회관 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두원면 운대리 운곡길을 가다 보면 길 양쪽으로 고흥분청문화박물관과 바로 맞은편에 조종현, 조정래, 김초혜 가족문학관이 있다.

⊙ 팔영산자연휴양림

- 홈페이지
https://www.foresttrip.go.kr/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팔영로 1347-418 (영남면)

팔영산 자연휴양림은 고흥 10경 중 으뜸인 팔영산(606.9m)의 풍광과 굴참나무, 갈참나무, 고로쇠 등 참나무류가 주종을 이루는 천연림으로 이루어진 휴양림으로 8개의 객실을 갖춘 산림문화휴양관 1동과 숲속 사이사이 정겹게 배치된 숲속의 집 9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남해안의 명산인 팔영산 계곡은 주말이면 연 평균 등산객이 전국 일원에서 약 3,000여명이상 등산 및 야영을 즐기는 등산코스로 이용되고 있으며, 휴양림 후면 산 정상에는 기암절벽(8봉)과 동으로 여자만과 다도해 그리고 일출의 장관을 볼 수 있고 인근지역에 용바위, 남열해수욕장, 도 문화재인 능가사, 유청신 피난굴, 여호바다 및 강산호 낚시터 등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도립공원으로 전국 각지에서 수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는 곳이다.

⊙ 수도암(고흥)

- 홈페이지
http://tour.goheung.go.kr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운곡길 204 (두원면)

수도암은 운암산(雲嵐山) 중턱에 있는 사찰이다. 수도암의 초창은 고려 시대에 명승 도희가 창건했다고 하며 고려 공민완 19년(1370) 영허가 중수했다고 한다. 본 건물은 조선 중종 12년(1517)에 화주 인종스님과 도목 응문이 창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후 3차례에 걸쳐 중건하였으며, 단청은 1977년 하였다. 수도암은 대웅전, 무루전, 범종각, 산신각, 칠성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중 무루전은 문화재 자료 제156호로 지정되어 있다.
수도암으로 올라 가는 길은 가파르지만 숲길로 이어져 있다. 이곳의 물은 운암산 꼭대기에서 흘러 암석을 거치고 약초들이 정수한 건강한 물로 유명하다. 좌측 산기슭에는 자궁바위가 있으며 이곳에서 자식이 귀한 사람들이 공을 들이면 자식을 얻는다는 신통한 바위로 수도암의 자랑거리다.
수도암에서 운곡길을 따라 900m 이동하면 오른쪽으로 고흥분청박물관이 있고 그 맞은편으로 조종현·조정래·김초혜 가족문학관이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